논문요약공부

데이터 협업기반 스마트시티 플랫폼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kanb 2023. 2. 10. 18:19

 

김산회. "데이터 협업기반 스마트시티 플랫폼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9. 서울

 

2050년까지 도시인구가 66%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의 경우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로의 인구이동에 따라 주택 및 인프라 구축에 있어 제정 및 기술부족으로 인하여 도시화문제를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다. 

전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해서 과학기술의 접목하고, 사회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고,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도시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구성요소와 기술분류

1. 기반 구축 단계(건설업, ICT 기반구축 사업시작): 정보수집기술/ 인프라

2. 수직적/수평적구축 단계 : 정보가공기술/ 데이터

3. 도시플랫폼 단계(도시가 하나의 플랫폼, 스마트시티의 완성)/미래도시 단계(본격적인 지능사회도 진화): 정보활용기술/서비스

 

서비스: 

알고리즘: 실제 활용가능한 정도의 품질과 신뢰성 확보가 관건

데이터를 처리/분석하는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도시서비스 

도시서비스: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환경 및 제도

 

데이터 협업기반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정의

-스마트시티 수요에 맞는 '리빙랩' 실증을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비즈니스를 창출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스마트시티 모델이 출연하게되었으며, 이에 지자체와 민간 기업이 협력하여 서비스를 고도화/운영함으로써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지자체, 민간기업, 시민이 참여하는 리빙랩을 통한 스마트시티 모델이 제시되었다.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시민, 기업, 공공 기관 등에게 협엽 환경 등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도시 데이터를 편리하게 공유하고 도시 전 분야의 선도적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